“한국 정부, 북 상대 승소 인권침해 피해자에 배상금 선지급해야”
앵커 : 국군포로 등 북한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한 북한 인권침해 피해자들이 배상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이들에게 배상금을 선지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21 일 북한인권 피해 구제와 북한 상대 소송 지원을 주제로 북한인권 상호대화 제 3 차 토론회를 주최했습니다 . 탈북 국군포로들을 대리해 손해배상 청구 소송과 추심금 청구 소송을 진행해온 엄태섭 법무법인 오킴스 변호사는 이날 행사에서 북한의 불법 행위로 인한 피해자들이 북한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한 경우 한국 정부가 배상금을 선지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북한 인권침해 피해자들이 북한 대상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해도 실질적으로 손해배상금을 지급해야 하는 제 3 채무자가 배상금 지급을 거부할 경우 추심금 청구 소송을 통해 배상금 수령을 위한 법리 다툼을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 엄태섭 법무법인 오킴스 변호사 : 국군포로 어르신들이 추심금 청구 소송을 통해서 채권 집행 권한을 확보해야만 하는 것인지 , 혹시 확정 판결까지 얻은 , 집행 권한을 확보한 경우만이라도 국가가 ( 배상금을 ) 선지급하고 국가의 유능한 인재들을 바탕으로 북한을 상대로 구상금 청구 소송이라도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 또 북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와 관련 특례법을 제정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 지난 2020 년 7 월 북한과 김정은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한 한재복 씨 , 노사홍 씨 등 국군포로 2 명은 약 1 만 6 천 달러의 배상금을 한국 내에 쌓여있는 북한 저작권료로 지급받아야 합니다 . 다만 이를 관리하는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 즉 경문협이 배상금 지급을 거부해 추심금 청구 소송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지난 2 월 별세한 한 씨의 경우 그 자녀가 소송을 수계해 이어가고 있...